코호트 연구
특정 병인학적 요인의 노출이 질병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판단하기 위해 코호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사
코호트(cohort): 동일한 특성을 가진 일련의 연구 대상자 집단
어떤 요인에의 노출이 질병 발생에 영향을 준다면 해당 요인을 질병에 관한 위험요인(risk factor)라고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향적 코호트 | 후향적 코호트 |
연구 시작 시점에 코호트의 추적을 시작하여 미래에 중단 | 노출여부와 해당 결과에 관한 현 시점까지의 정보들을 의무기록이나 연구대상자의 기억을 토대로 확인 |
대부분의 코호트 연구가 해당 |
수행하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듦 신뢰성이 낮음 |
연구 대상자의 처리에 따라
고정 코호트 | 역동적 코호트 |
연구대상자가 코호트를 떠나는 경우 새로운 연구대상자로 대체하지 않음 | 연구대상자가 코호트에서 탈락하는 경우 자격조건을 갖춘 다른사람으로 대체 |
코호트의 선택
코호트는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고자 하는 대상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함
*건강인 진입효과(healthy entrant effect)
질병에 대한 위험요인의 병인학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구시작시점에 해당 질병과 무관한 사람들로 구성해야 하는데, 이과정에서 건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어 연구대상자의 연구 초반 사망률이 일반 인구집단에서 기대되는 사망률보다 더 낮게 나타나는 현상
코호트의 추적
연구대상자를 시간에 따라 추적조사할 때에는 언제나 추적실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음
결과 및 노출에 관한 정보
질병의 결과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
사망이나 질병이 관심위험요인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한것은 아닌지 배제할 수 있어야함
연구기간동안 관심 위험요인에 관한 노출 여부가 변하기도 함 > 노출여부와 정도에 대한 반복적 재조사 필요
코호트 연구 자료의 분석
코호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자들을 추적조사하기 때문에 전체 표본을 사용하여 모집단 내 질병 발생 위험(risk)을 추정할 수 있다
상대위험(RR) : 위험 요인에 노출되면 질병 발생 위험이 몇 배 증가(혹은 감소) 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상대위험을 해석할때는 반드시 해당 질병의 기저위험(underlying risk)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질병 발생 위험도 추정값 = \cfrac{연구 기간 동안 질병이 발생한 인원 수}{코호트 내 전체 인원수}$ $노출된 집단의 질병 발생 위험도 추정값 = risk_{exposed} = \cfrac{a}{a+b}$ $노출되지 않은 집단의 질병 발생 위험도 추정값 = risk_{unexposed} = \cfrac{c}{c+d}$ $상대 위험도 추정값 = \cfrac{risk_{exposed}}{risk_{unexposed}} = \cfrac{a/(a+b)}{c/(c+d)}$ |
분류 | 관심질병 | |||
O | X | 합계 | ||
요인에의 노출 | O | a | b | a+b |
X | d | d | c+d | |
합계 | a+c | b+d | n=a+b+c+d |
코호트 연구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시간의 흐룸에 따른 사건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질병의 발생률 혹은 위험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여러 요인들에 관한 노출정보를 상세하게 수집할 수 있다 희귀한 요인에 노출되는 경우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시간에 따른 노출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 사례-대조 연구에 비해 회상편향이나 선택편향이 적다 |
연구대상자를 오랫동안 추적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관심질병이 희귀병인 경우 매우 큰 표본수가 필요하다 추적기간이 길어질 수록 추적실패로 인해 편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가 장기간 진행되면 측정값 관찰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힘들고, 연구대상자의 행동도 바뀔 수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질병의 결과나 발생률 또는 병인이 바뀔 수 있다 |
코호트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관리 측면들
결과변수 | 결과변수를 명시하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를 제시해야 한다 결과변수의 측정방식도 명시한다 |
노출변수 | 어떤 노출변수를 조사할 것인지 명시하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를 제시해야 한다 노출여부의 확인방식도 조사한다 |
연구대상자의 모니터링 | 연구대상자의 조사방식, 추적관찰 주기, 각 시점에서의 조사할 정보 등을 명시해야 한다 |
코호트의 표본 수 및 추적기간 | 코호트연구에서는 사건발생건수가 연구의 점정력을 좌우하므로 코호트의 크기를 늘리거나 추적기간을 늘려 충분한 크기의 사건발생건수를 확보해야 한다 관심변수에 노출된 경우와 노출되지 않은 경우 각각 결과가 관찰될 빈도와 연관성 검정에 필요한 표본수를 미리 계산한다 |
잠재적 교란변수 및 효과조정자의 정의 및 확인 방법 |
관련된 변수와 조사방식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시해야 한다 |
통계분석 계획 | 코호트의 통계분석을 수행할 시점을 명시해야한다 |
편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들 | 코호트 내의 탈락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명시해야 한다 결과변수, 노출변수, 잠재적 교란변수 및 효과조정자들에 대한 정의와 평가기준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도록 할 방법도 명시해야 한다 |
질 관리 계획 | 중간분석 시점에서 다음 사항들을 보장하기 위한 통계분석 방법들을 제시해야 한다 -추적실패율이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함 -노출변수, 결과변수 및 다른 주요 자료들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법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함 -결과변수가 처음에 예상했던 속도 만큼 발생되고 있어서 연구가 계획된 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 |
임상 코호트(clinical cohort) = 질병 레지스트리 = 관찰 데이터베이스
한 곳 이상의 병원에서 동일한 임상 소견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출한 뒤 이들을 추적조사하는 연구
환자들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는 주로 일상적인 치료과정중에 얻어지는 정보들이므로 다양한 형태로 처방되는 처리의 효과들을 평가하기 용이함
- RCT와 달리 대상 병원내 해당 질환을 가진 모든 환자들이 등록 > 실제 일선 진료 상황을 더 정확히 반영
- 무작위배정을 하지 않으므로 교란편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ref.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3788798
한눈에 알 수 있는 보건.의학 통계학
책 한 권 내에 어떤 상황에서는 어떤 통계분석을 실시해야 하는지, 또 어떻게 분석을 실시하며, 분석결과는 어떻게 해석하는지 등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들을 충분히 제공하기가 결코 쉽지는
www.aladin.co.kr
'보건 의학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 - 대조군 연구 (0) | 2021.08.18 |
---|---|
임상 시험 (3상) (0) | 2021.08.13 |
역학 - 용어 정리 (0) | 2021.08.11 |
자료의 변환 (0) | 2021.08.11 |
이론적 분포들 - 정규, 기타 분포 (0) | 2021.08.11 |
댓글